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4 로봇과 더불어 살아야 할 세상에서 준비할 일 4차 산업혁명의 가장 큰 특징을 요약하면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가 연결되어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는 시대이다. 미디어 분야에서는 이것을 간략히 줄여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만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통한 융합 시대라고 요약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1~3차 산업혁명과 달리 생산을 통제하는 주체가 사람이 아닌 기계라는 것이다. 사람의 통제를 받지 않고도 기계가 ‘생산량이 너무 많아, 오늘은 그만 만들어야 해’라거나 ‘재료 재고가 부족하니 빨리 재료를 주문해’ 이런 결정을 스스로 할 수 있는 정도로 발전 가능하고, 사람의 명령을 거부하면서 사람을 위협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람이 먼저다’를 모토로 살아가고 있는 시대인데, 기계가 사람을 위협한다고 하니 걱정이 아닐.. 2021. 5. 13. 미디어의 미래, 방송과 소셜미디어 접목에서 찾다 방송의 미래와 소셜미디어 [박성환 박사] 과거의 방송은 강력한 미디어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지금의 상황은 어떤가? 1인 미디어의 등장으로 소비자가 미디어 권력의 중심이 되었다. 이들은 콘텐츠생산자인 동시에 소비자이기 때문이다.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 및 유통의 흐름에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빼고 생각할 수 없다. 콘텐츠 비즈니스도 범용 플랫폼 제공사와 플랫폼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산하는 개인 채널 운영자에게로 이동하고 있다. 정보 수집도, 정치 뉴스도 개인 방송으로 소비한다. 분야별 스타강사의 영향력이 여론과 정부 정책을 뒤흔들기도 한다. 이처럼 소셜미디어 채널의 ‘구독’을 통한 정보의 즉시성은 강력한 힘이 되었다. 하지만 1인 방송, OTT 서비스 등은 자체 정화기능 부족으로 국민 정서를 위협하고.. 2021. 4. 28. 홀로그램 원리와 아날로그, 디지털 홀로그램 종류 정부의 홀로그램 정책은 미래창조과학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4년 8월 27일 국무총리 주재로 개최된 제2회 ‘정보통신 전략위원회’를 통해 정보통신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인 홀로그램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홀로그램 산업 발전전략」을 확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과제가 2021년 현재에도 계속 진행 중이다. 홀로그램(Hologram)은 차세대 영상기술로서 이미 2013년 10월, 미래부 「ICT R&D 중장기전략」의 10대 핵심기술 중 하나로 선정된 바 있다. 그동안 유사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클라이브(Klive) 라는 홀로그램 K-pop 콘서트 무대를 마련하여 한류 관광객의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Klive의 홀로그램관, 에버랜드의 홀로그램관을 중심으로 K-pop 관련 콘텐츠의 홀로그램이.. 2021. 4. 26.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오는 미디어 세상의 변화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오는 미디어 세상의 변화 제4차 산업혁명이 전 산업분야에서 새로운 시대를 여는 관문처럼 널리 회자되고 있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 일명 다보스 포럼)에서 이슈화된 화두로, 포럼의 「The Future of Jobs」라는 보고서에 나타난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물리적 공간, 디지털적 공간 및 생물학적 경계가 모호해지는 기술 융합의 시대’라고 정의하고 있다. 4차 산업 혁명시대의 산업구조에 대해서는 독일 중심의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이 먼저 시작했지만, 한국에서는 KAIST 이민화 교수가 풀어내는 O2O(Offline To Online) 서비스를 통한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융.. 2021. 4. 15. 이전 1 ··· 50 51 52 53 5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