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 동영상 플랫폼 광고를 넘어서 구독 경제로 이동 중 동영상 시대, 광고를 넘어 구독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인터넷 기업인 네이버, 카카오가 구독경제라는 새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 카카오는 애플, 아마존, 구글 같은 세계적인 기업이 여는 구독 플랫폼을 보면서, 구독경제를 미래 인터넷 발전의 한 축으로 해석한다. 네이버는 한성숙 대표가 주주들에게 서한을 보내 “생필품, 장보기, 정기구독, 렌털, 명품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을 확대하겠다.”라고 밝힌 것을 보면 생활 주변의 쇼핑으로부터 확장해 나가는 구독경제를 준비할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의 대표 기업이 단순히 ‘우리도 넷플릭스처럼’을 표방하며 출사표를 던진 것은 아니다. 그래서 국내 구독경제 시장을 어떤 서비스로 이끌어갈지 기대된다. 구독경제(Subscription Economy)란 신문을 보듯이 일정 .. 2021. 8. 31. 메타버스 세상을 열어가는 선두 기업들, 선구자는 게임업계 스티브 잡스가 연 ‘앱 스토어’라는 새로운 장터는 모바일 세상을 열고, 소셜 미디어 시대를 앞당겼다. 애플리케이션 생태계는 소셜 플랫폼이라는 놀이터에서 온라인 만남이라는 재미를 선물해 주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라는 위기 상황은 온라인 문화 패턴으로 자리 잡게 했다. 한 번 흘러간 물이 다시 돌아오지 않듯이 문화 현상의 흐름도 그렇다. 비슷해 보이지만 절대 똑같지 않은 새로운 현상이 이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나타난다. 이것은 강력한 ‘메타버스 플랫폼’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세계인의 문화생활을 바꿀 차기 플랫폼으로 성장할 것이다. 메타버스(Metaverse)란 무엇인가? 초월을 뜻하는 접두어인 메타(Meta)에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이다. 한마디로 ‘초현실적인 .. 2021. 6. 29. 생활 중 적정 습도 기준은? 실내습도 유지용 보국전자 제습기 BDH-0701 언박싱 우리의 삶은 날씨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날씨는 온도와 습도를 기본으로 하지요. 우리는 매일 일기 예보를 보면서 주로 기온과 맑음, 흐림, 강수여부, 미세먼지 수치 등을 봅니다. 그런데 습도는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온도계는 확인하면서 습도를 같이 확인하지는 않지요. 그런데 장비실에는 항온 항습기를 설치해서 운영할 정도로 습도를 중요시 해요. 사람보다 장비를 더 소중하게 다루는 느낌이 드는 것이 현실입니다. 생활 환경에서 실내 습도는 왜 중요할까요? 그러면 습도의 정의를 먼저 알아야 겠지요. 습도는 공기중에 수증기가 포함된 정도를 말합니다. 인간 생활의 쾌적한 습도는 30%~60%입니다. (초등학교 5학년 교과 과정에서 배워요.) * 미국 ASHRAE(American Society of Hea.. 2021. 6. 27. 구글의 10가지 디자인 원칙, 사람과 세상을 위한 단순한 디자인으로 신뢰를 얻어라. 세계를 움직이는 빅테크 기업인 구글도 1998년 9월 래리 페이지(Larry Page)& 세르게이 브린(Sergey Brin)이 설립할 당시에는 그저 미래를 평범한 소규모 벤처기업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 그들이 만드는 세상은 미래를 향한 거대한 도박같은 일을 기획하고 있다. 거대한 꿈 앞에서 거짓이 되지 않게 하는 방법은 스스로 그 꿈을 실현시키면 되는 것이다. 구글의 비즈니스는 10% 보다 10배 향상시키는 것이 더 쉽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이다. 이것이 구글 비즈니스의 스케일이다. 검색엔진의 알고리즘을 통해서 데이터를 확보했고 그 데이터가 어떻게 연결되어있는지를 알고 있다. 이것을 ‘지식 그래프’라고 부른다. 이 데이터는 구글 비즈니스의 근간이 되고 있다. 지기 그래프 이론은 다른 글에서 다루.. 2021. 6. 17.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