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은 서울, 경기, 인천이라는 수도권에
몰려 있습니다.
그래서 수도권 인구는 계속 늘어나고...
더불어서 수도권 집값은 비싸기만 합니다.
2018년 부동산 사태 이후에 서울 집값은
구축이건 신축이건 너무 비싸서,
서울에서 경기도로 인천으로 탈출해야하는
경우가 너무나 많습니다.
그래서 30대 직장인의 내집 마련의 길은
멀고도 험합니다.
그래서
직장 초년생 후배의 사례와,
언론에 보도된 내집마련 성공 사례를 통해서
살펴 봅니다.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 되기를 기대합니다.
-----------
연봉 3,600만 원 직장인, 10년 이내 내집 마련 계획,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30대 초반 직장인 B씨는 월급 300만 원으로, 2018년부터 직장생활을 시작했습니다. 결혼 후 부모님 집에서 배우자와 함께 거주하며, 매달 생활비와 관리비 등을 지출하고 있습니다. 현재 최대 관심사는 주택 마련입니다.
- 월 소득: 300만 원
- 월 지출: 생활비 80만 원, 관리비 13만 원, 부모님 용돈 40만 원 등
- 저축: 정기적금 80만 원, 청약저축 27만 원
- 예비 자금: 1,000만 원
B씨의 전략은 무엇일까요? (자산 전문가 조언 받은 내용입니다.)
- 투자 다각화 필요: 이율이 낮은 적금 위주로 자산을 모으고 있어, 일부 자금을 적립식 펀드에 투자하여 수익률을 높이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 노후 대비: 연금저축에 매달 35만 원씩 납입하여 노후를 대비하고 세액공제 혜택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제 생각에는 노후 대비를 동시에 준비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것으로 보이는데...
내집 마련과 노후 대비 2가지를 추천하네요.
청년주택마려저축 처럼 저리 대출 방안을 잘 준비해야 겠어요.
----------------
연봉 4,300만 원 직장인 , 5년 내 수도권 내 집 마련 계획
32세 직장인으로, 세후 연봉 4,300만 원이며, 부수입으로 연 300만~500만 원을 벌고 있습니다. 자산은 7,000만 원이며, 9,000만 원의 전세 대출이 있습니다. 향후 5년 내 수도권 근교에 내 집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이 내용도 상담 사례를 요약한 것입니다.)
재무 상태:
- 월 소득: 약 358만 원
- 월 지출: 원리금 상환 65만 원, 이자비용 17만 원, 보험료 40만 원 등
- 저축: 주택청약 10만 원
전략:
- 지출 구조조정: 가계부를 작성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파악하고, 생활비를 절약하여 저축 여력을 확보합니다.
-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 월 50만 원을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납입하여 세제 혜택을 받습니다.
- 재형저축 가입: 대출 상환 완료 후 발생하는 여유 자금으로 재형저축에 가입하여 비과세 혜택과 높은 금리를 활용합니다.
월 130만 원의 저축을 통해 5년 내 8,000만 원의 추가 자금을 마련하여 내 집 마련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 부수입 재테크가 핵심인 듯합니다.
(직장인 온라인 부업 추천 10가지)
직장인 온라인 부업 10가지 추천, 사업자등록증 필요없는 부업, 챗GPT로 돈벌기, 틱톡 앱테크
직장인 온라인 부업 10가지 추천, 사업자등록증 필요없는 부업, 챗GPT로 돈벌기, 틱톡 앱테크
오르는 물가,오르지 않는 월급,쓰임은 많고... 직장인들의 대부분이 하고 있다는 온라인 부업! 어떤 부업이 가장 쉽고, 작지만 꾸준한 수익이 나오고,사업자등록증이 필요없이 할 수 있을까요?
dia900.tistory.com
'BizReview_투자 > 투자_미래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코인 해킹사례, 파이 비밀구절 분실, 파이 지갑 해킹, 파이코인 비번변경 (1) | 2025.03.05 |
---|---|
파이코인 메인넷, 파인코인 거래소 상장, 파이코인 가격 상승 (0) | 2025.02.14 |
1기 신도시 노후계획도시 정비법의 핵심 (0) | 2024.07.13 |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선정과 조합원 분담금 줄이기 아이디어 (0) | 2024.07.13 |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가진 남자, 돈이란 무엇인가 (1) | 2024.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