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대한민국 소셜미디어의 이용현황 입니다.
주로 글로벌 데이터를 제공하는 datarepotal 자료를 기준으로 합니다.
한국의 인터넷 사용 시간을 살펴볼까요?
한국의 연령별 인구을 알아봅니다.
대한민국 인구의 평균 연령은 44.4세입니다.
대한민국의 총 인구를 연령대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9%는 0세에서 4세 사이입니다.
6.7%는 5세에서 12세 사이입니다.
4.4%는 13세에서 17세 사이입니다.
7.6%는 18세에서 24세 사이입니다.
13.6%는 25세에서 34세 사이입니다.
14.5%는 35세에서 44세 사이입니다.
16.4%는 45세에서 54세 사이입니다.
16.0%는 55세에서 64세 사이입니다.
17.9%는 65세 이상이다.
기본적인 이용환경인 인터넷 속도를 살펴봅니다.
(2023년 한국의 인터넷 연결 속도)
Ookla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초 한국의 인터넷 사용 속고입니다.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모바일 평균 인터넷 연결 속도: 118.76Mbps.
고정 인터넷 연결 속도의 중앙값: 95.34 Mbps.
2023년 초 한국의 소셜 미디어 사용자 수는
4,764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92.0%에 해당합니다.
(18세 이상 인구는 91.6% 인 점을
고려하면 성인 인구 전체에 해당하지요.)
인터넷 사용자가 94.2% 이니
인터넷 사용자 중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진 플랫폼은
카카오톡 입니다.
(한국의 카카오톡 사용자 수)
카카오톡의 투자자 실적 발표에 발표된 수치에 따르면
카카오톡은 한국에서 4,764만 명의
월간 활성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물론 중복 계정을 포함합니다.
카카오톡의 월간 활성 사용자 통계에 따르면
한국 인터넷 사용자의 94.2%가 카카오톡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카오톡은
2023년 초 활성 사용자 수 기준으로
한국 최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입니다.
전체 글로벌 활성 사용자 기반의 88.9%를
차지했기 때문입니다.
============
계속해서 유튜브 알아봅니다.
(2023년 대한민국의 YouTube 사용자)
구글의 광고 자원에 대한 업데이트에 따르면
유튜브는 2023년 초 대한민국에서
4,60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 도달 수치가 반드시
월간 활성 사용자 수치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유튜브의 광고 오디언스 규모와
전체 활성 사용자 기반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회사 자체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초 유튜브의 도달률은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88.8%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수치를 종합하면,
유튜브 광고는 2023년 1월 한국 전체
인터넷 사용자 기반(연령에 관계없이)의 91.0%에 달했습니다.
한국 유튜브 광고 시청자의 50.0%가
여성이었고, 50.0%가 남성이었습니다.
(대한민국 유튜브 이용자 증가)
구글의 자체 광고 기획 도구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초부터 2023년 초 사이 대한민국에서
유튜브의 잠재적인 조회수는 40만 건(-0.9%) 감소했습니다.
무엇이 증가 했을까요?
유튜브가 시들해지는 걸까요?
좀 더 살펴봐야 알수 있어요.
===============
(2023년 대한민국의 인스타그램 사용자)
메타의 광고 도구에 게시된 숫자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은 2023년 초 대한민국에서
1,925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의 최근 수정된 수치에 따르면
한국에서 인스타그램의 광고 수는
올해 초 총 인구의 37.2%에 해당합니다.
다만 인스타그램은 13세 이상으로
플랫폼 사용을 제한하고 있어
2023년 대한민국 '적격' 시청자의 41.1%가
인스타그램을 사용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2023년 초 한국에서 인스타그램의 접속자 수는
현지 인터넷 사용자 기반의 38.1%
(연령에 관계없이)에 해당한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2023년 초, 대한민국 인스타그램 광고 시청자의
54.9%가 여성이었고, 45.1%가 남성이었습니다.
(대한민국 인스타그램 사용자는 성장하고 있는가?)
메타의 기획 도구에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과 2023년 사이에 대한민국에서
인스타그램의 잠재적인 조회수는
140만 건(-6.8%) 감소했습니다.
분기별로 이 회사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10월부터 2023년 1월까지
대한민국 인스타그램의 광고 시청자 규모가
75만 명(-3.8%) 감소했습니다.
사회전반의 경제 상황과 연결해서
생각해야하는 수치입니다.
===================
다음은 메타의 페이스북 입니다.
(2023년 대한민국의 Facebook 사용자 수)
메타의 광고 자료에 따르면
한국에서 페이스북 이용자는 960만 명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Meta는 최근 몇 달 동안 Facebook의
기본 타겟 데이터를 대폭 수정하는 등
광고 리소스 보고서 도달 데이터 방식에
중요한 변경 사항을 적용했기 때문에
여기에 표시된 수치는 이전 보고서에 게시된 수치와
직접 비교할 수는 없습니다.
(한국의 Facebook 사용자 변화)
Meta의 자체 도구에 발표된 수치에 따르면
한국에서 Facebook의 잠재적 광고 도달 범위는
지난 1년 사이에 110만 건(-9.9%) 감소했습니다.
============
틱톡을 알아볼까요?
바이트댄스의 광고 자원에 게재된 수치에 따르면
틱톡은 2023년 초 대한민국의 18세 이상
사용자가 566만 명에 달했습니다.
ByteDance는 마케팅 담당자들이
자사의 광고 도구를 통해
13세 이상 사용자들에게 TikTok 광고를
목표로 할 수 있지만,
이러한 도구들은 18세 이상 사용자들에 대한
오디언스 데이터만을 보여줍니다.
바이트댄스의 수치에 따르면
틱톡 광고는 2023년 초 한국의 18세 이상
성인 전체의 12.7%에 달했습니다.
한편, 틱톡의 대한민국 내 접속자 수는
나이에 상관없이 연초 국내 인터넷 사용자 층의
11.2%에 해당했습니다.
2023년 초 한국의 틱톡 광고 시청자의
58.0%가 여성이었고 42.0%가 남성이었습니다.
(대한민국 TikTok 사용자 성장은?)
바이트댄스의 자체 광고 기획 도구에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틱톡의 대한민국 내
잠재적 도달률은 2022년 초부터 2023년 초까지
76만3000명(+15.6%) 증가했습니다.
한편, 2022년 10월부터 2023년 1월까지
대한민국의 틱톡 광고 잠재 도달률은
407,000건(-6.7%) 감소했다는 것도 기억해야 합니다.
[2022년 대한민국 주요 소셜미디어 활용현항 분석]
살펴보기
2022 대한민국 주요 소셜미디어 이용현황 분석 (tistory.com)
2022 대한민국 주요 소셜미디어 이용현황 분석
대한민국 디지털 미디어 시장을 전망해 봅니다. 2022년 2월 15일 기준입니다. 2022년 한국인들의 인터넷 연결 환경과 주요 소셜미디어 츨랫폼 이용에 대한 데이터 분석입니다. 기본 참고 자료는 Data
dia900.tistory.com
'Digital Nomad & Media > 미디어_기술_모바일_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상파방송이 살아남는 방법, 버전 업이 필요하다. (3) | 2023.12.02 |
---|---|
아마존의 실험은 실패하는가? 아마존 고 무인매장 어떻게 될까? (2) | 2023.12.01 |
챗GPT는 검색의 시대를 끝낼 수 있을까? (0) | 2023.05.06 |
4차 산업혁명 시대, 등대 공장과 미디어 기술 (0) | 2023.01.17 |
트위터 사용자 개인정보 유출, 2억명 다크웹에, 내 정보 유출여부 확인방법 (0) | 2023.01.09 |
댓글